일본 고전시가 해설입니다. 백인일수 해설을 하다가, 일본 고전시가의 다른 장르에도 관심이 생겨서 글을 씁니다.
관련 글
● 와카(和歌)는 57577, 31자를 기본 형식으로 합니다. 소재는 사랑·자연 등 다양합니다. 백인일수는 와카를 모은 책입니다.
● 하이쿠(俳句)는 575, 17자를 기본으로 하면서 계절을 나타내는 말(季語. きご), 호흡을 끊어 여운을 주는 말(切字, きれじ)을 넣습니다. 계절을 나타내는 말이 들어가는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만 주로 자연을 소재로 합니다.
● 센류(川柳)는 하이쿠와 마찬가지로 575, 17자를 기본 형식으로 하면서 제약을 덜어 내고 쓴 시입니다. 제약이 적기 때문에 소재는 정말 다양합니다.
● 참고로 글자 수는 기본 형식에서 조금씩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하이쿠는 575, 557, 875 등 글자 수를 바꿔 가며 쓰기도 했습니다. 글자 수가 정형보다 많은 걸 지아마리(字余り, じあまり)라고 합니다.
이번에 다룰 시는 일본에서 굉장히 유명한 마츠오 바쇼(松尾芭蕉, まつお ばしょう, 1644~1694)의 하이쿠(俳句)입니다. 끊어서 읽기 좋게 / 표시를 해두었습니다.
閑さや / 岩にしみ入る / 蝉の声
역사적 가나 표기
しづかさや / いはにしみいる / せみのこゑ
현대적 가나 표기
しずかさや / いわにしみいる / せみのこえ
해석
적막함이여 / 바위에 스며드는 / 매미의 소리
閑さ | しずかさ / 조용함, 고요함 (=静かさ, しずかさ) ●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는 しづかさ로 적습니다. しづけさ가 맞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閑은 지금의 상용한자표에는 음독 かん만 있습니다. 하지만 상용한자표 외의 훈독으로 ひま・しずか・ならう가 있습니다. 이 글은 17세기의 글이기 때문에 상용한자표에 얽매여 해석할 필요는 없습니다. |
岩 | いわ / 바위 |
染み入る | しみいる / 스며들다 |
蝉 | せみ / 매미 ● 계절을 나타내는 말(季語. きご)입니다. 주로 여름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
声 | こえ / (목)소리 |
교과서 스타일로 장황하게 해설해 보겠습니다.
매미가 우는데 조용하다고 합니다. 지금 제가 글을 쓰고 있는 이 시간에도 메미는 시끄럽게 울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조용할까?
마츠오 바쇼가 이 글을 썼다고 하는 시기는 양력 1689년 7월 13일입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6월 3주차에도 매미가 울기 시작하지만, 7월 3주가 되어서 매미가 우는 곳도 있습니다. 한편, 마츠오 바쇼가 이 하이쿠를 썼다고 하는 곳은 立石寺 (りっしゃくじ)라는 절입니다. 야먀가타 현(山形県)에 있는 절인데, 야마가타 현은 7월의 평균 기온이 서울보다 2~3도 정도 낮습니다.
이런 환경이니까, 매미가 울기 시작했지만 아직 매미가 많지는 않았을 수 있습니다. 이 절은 산에 있는 절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굉장히 조용했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조용한 곳에서, 문득 매미의 울음 소리가 들려 옵니다. 한 마리의 매미만 멀리서 운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렇게 조용하던 곳에서 매미 소리가 들려 오면, 시끄럽다는 느낌보다는, 매미 소리가 나무 사이에서 울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숲 속에서 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들어 보신 분은 그 울림을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 곳에서 우는 매미 한 마리의 울음 소리조차 들릴 정도로 조용한 세계. 마츠오 바쇼는 이런 고요함을 '매미의 소리가 바위에 스며든다'라는 표현으로 나타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자면 이 하이쿠는 마츠오 바쇼가 매미의 울음 소리를 듣고 느낀, 자연에 대한 감탄을 적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 마디로 줄여 보자면 "와! 엄청 조용하네!"입니다.
마츠오 바쇼가 이 하이쿠를 지은 곳이 立石寺 (りっしゃくじ)라는 절이라는 건 위에서 말씀 드렸습니다. 마츠오 바쇼가 승려도 아닌데 절에 있다는 것은, 자기 수양을 위해 절에 갔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마츠오 바쇼는 "奥の細道 (おくのほそみち)"라고 하여 여행을 다니면서 글을 쓰고 있었고, 그 책의 이름이 "奥の細道"입니다. 한국의 고전 시가도 산 좋고 물 좋은 곳에 가서 마음을 가다듬으며 쓴 걸로 추청되는 것이 많이 있는데, 이 하이쿠 또한 그러리라는 추측입니다.
그런 곳에 가서 그가 느꼈던 것은 현실 세계의 고요함을 넘어선, 마음의 고요함일 수 있습니다. 그러면 매미의 소리를 그냥 언급한 것이 아니라, 바위에 스며든다고 표현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스며든다는 것을 풀어 쓰자면, 특정 물질이 다른 물질의 틈을 타고 흘러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비유적인 의미로, 마음 속으로 깊이 느낀다는 뜻도 있습니다. 이건 한국어 사전이나 일본어 사전에 모두 실린 뜻입니다. 이러한 사전적인 뜻을 기반으로 해석해 보겠습니다.
①
우선 첫 번째 의미로 해석해 봅시다. 바위는 자연 속의 여러 사물 중 하나로,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매미의 소리가 바위에 스며든다는 것은, 매미의 소리가 자연에 흘러 들어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무언가가 다른 사물에 스며들면 어떻게 되는가 생각해 봅시다. 물이 휴지에 스며들면 물은 휴지 속에 있습니다. 잉크가 종이에 스며들면 잉크는 종이와 함께 합니다. 이와 같이 매미의 소리가 바위에 스며들었다는 것은, 매미의 소리가 자연과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매미의 소리가 바위에 스며들었다는 표현은, 매미의 소리가 자연과 하나임을 느꼈다는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뜻 시끄럽다고 생각할 수 있는 매미의 소리를 들으면서도, 자연 속에서 자신의 마음은 고요할 수 있습니다.
②
한편 스며든다는 표현을 마음 속 깊이 느낀다는 뜻으로 해석해 봅시다. 그러면 바위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여기서는 바위를 움직이지 않는 자신의 마음을 비유한 것으로 생각해 봅시다. 이러한 비유는 세계적으로도 많이 나타나는 표현입니다. 물론 일본에서도 종종 사용되는 비유입니다. 움직이지 않는 마음으로 매미의 소리를 느낀다. 이렇게 해석하면 메미의 소리를 여름의 자연으로 생각하여, 자연 속에서 느끼는 마음의 고요함 그 자체를 표현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①이나 ②처럼 해석하면, 이 하이쿠는 마츠오 바쇼가 절에서 마음을 가다듬던 중 매미 소리를 듣고 느낀 마음의 고요함을 노래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마츠오 바쇼의 하이쿠 "閑さや岩にしみ入る蝉の声"에 대한 해설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