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알아 볼 테트리스 빌드는 개막 TSD(T-Spin Double Opener또는 TKI 3 Opening, 開幕TSD)입니다.
일본어 사이트에서는 주로 개막 TSD 명칭을 쓰고, 영어 사이트에서는 TKI 3 Opening(Opener) 명칭을 주로 사용합니다.
일본어 사이트에서 TKI라고 하면, 영어 사이트에서 말하는 C-Spin을 가리킵니다.
TKI라는 유저가 고안하였고 T스핀 더블로 시작(개막)한다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관련 글
목차
1. 개막 TSD 기본 형태
2. 개막 TSD 이후의 빌드
2-1. ST 쌓기, LST 쌓기
2-2. 퍼펙트 클리어
2-3. 임페리얼 크로스
2-4. T스핀 더블 - T스핀 트리플 타워
2-5. 기타 T스핀
2-6. 참고 영상
개막 TSD의 기본 형태입니다. 상위권 유저들은 1번 형태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입력 횟수가 적어서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이 상태에서 홀드해두었던 T미노로 T스핀 더블을 하여 공격합니다.
공통적으로 I가 아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빌드는 I가 빠를 때 사용 가능합니다.
물론 좌우대칭형도 사용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I가 빠르게 나와야 합니다.
Harddrop[링크] 등 과거의 자료에서 5번 형태를 먼저 소개하는 것을 보면, 처음에는 5번 형태로 시작했던 것 같은데, 빌드가 연구되면서 다른 형태가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개막 TSD는 첫 가방 형태만 부르는 명칭이기 때문에, 두 번째 가방부터는 형태가 다양합니다.
먼저 영상을 보겠습니다. 개막 TSD로 시작하여 LST쌓기를 기본으로 T스핀을 반복하는 영상입니다.
싱글 플레이에서 LST쌓기를 중심으로 T스핀을 계속 만들고 있습니다.
왼쪽에 L, S를 반복적으로 쌓고 T스핀을 한다는 점에서 LST쌓기(LST積み, LST Stacking)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위 영상은 싱글플레이라서 지형을 굉장히 높게 유지하지만, 실전에서는 I로 줄을 더 자주 깎습니다.
속도, 화력, 안정성의 균형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쓰레기 줄이 올라오기 전까지는 이 빌드로 진행하면 무난할 것입니다.
실전용으로 이 빌드를 사용한다면, LST쌓기와 아래의 퍼펙트 클리어를 연습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유사 형태로 ST쌓기(ST積み, ST Stacking)가 있습니다. 왼쪽에 S쌓기-T스핀 과정을 반복한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입니다.
아래 영상은 예시입니다. 34:06에 재생되도록 해두었습니다. 개막 TSD로 시작하여 왼쪽에 ST쌓기를 하는 모습입니다. 34:35부분에 I미노를 실수로 홀드하는 바람에 백투백이 끊겼습니다만, 그것만 빼면 무난합니다.
ST쌓기는 사용 빈도가 다소 낮은 편입니다. 반복하다 보면 아래처럼 되기 때문입니다.
왼쪽에 빈 공간이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빈 공간을 채우기 전까지는 줄을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어가 취약해집니다.
그래서 ST쌓기는 LST쌓기 중에 1~2회 섞는 정도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KI3-퍼펙트 클리어에 관해서는 다른 글을 통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연습 시간에 비해 효율이 좋은 편은 아니라서 초보 유저 분들에게는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아래 영상은 개막TSD-TSD-퍼펙트클리어-퍼펙트클리어-퍼펙트클리어 영상입니다. 1:31~2:04 부분입니다. 확률이 높은 건 아닙니다.
위 영상에 나온 퍼펙트 클리어 형태 외에도 여러 가지 퍼펙트 클리어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세한 건 영상 위의 링크를 보시면 좋겠습니다.
실전용이라면 LST쌓기와 퍼펙트클리어만 연습해도 충분합니다. 아래는 약간 재미를 위한 형태입니다.
영상을 먼저 보겠습니다. 개막TSD - 임페리얼 크로스로 이어나가는 모습입니다.
아래는 반대 방향 예시입니다.
임페리얼 크로스 이후에는 정해진 빌드가 없습니다. 적당히 T스핀 더블을 만들거나, 또 다시 임페리얼 크로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NEXT에 맞춰서 구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개막 TSD 이후 T스핀 더블을 한 번 하고 T스핀 트리플 타워(또는 Back-to-Back T-Spin Triple) 형태를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위 그림의 유사 형태로, 아래와 같이 T스핀 더블을 만들고 T스핀 트리플 타워를 만드는 형태도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T스핀 더블을 여러 번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취향에 맞다면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형태도 가능합니다. 싱글 더블(Single Double)이라고 소개하는 사이트도 있는 형태입니다. 왼쪽으로 T스핀 싱글을 하고, T스핀 더블 형태를 남기는 방식입니다.
같은 형태로 아래와 같은 진행도 가능합니다. T스핀 더블을 위로 하고, 남은 형태에 I와 Z를 더해 STSD를 만드는 것입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