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방 8줄 20블럭 퍼펙트클리어(Perfect Clear; 이하 PC) 이후의 2가방 PC에 대해 다룹니다.
DPC라고도 하는데, T스핀 더블(D)-퍼펙트클리어(PC) 빌드라는 뜻입니다.
3가방 8줄 PC가 있는 빌드에 붙여서 사용 가능하며, 3가방 8줄 PC와 함께 중앙 4줄콤보(Center 4-wide)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선행 빌드를 고민 없이 쌓는 정도가 되어야 의미가 있기 때문에, 초심자 분들에게는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목차
1. 효용성
2. 3가방 8줄 PC 가능 개막 빌드
3. 3번 가방 남은 미노에 따른 PC 방식
3-1. O미노
3-2. S미노
3-3. Z미노
3-4. I미노
3-5. T미노
3-6. L미노
3-7. J미노
◆ 3가방 8줄 PC 이후에 바로 2가방 PC를 붙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공격력이 좋음. 5가방에 28~38줄 공격. 대체로 33줄 정도.
2. 쓰레기 줄이 올라오면 중간에 끊기 쉬움.
3. 퍼펙트 클리어가 포함되어 순간 화력이 높음. 상대방이 대응할 시간이 적음.
4. 5가방 순환. 5가방 35개의 미노로 PC를 하면 6번 가방부터는 다시 개막 빌드와 같은 상황.
이러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3가방 8줄 PC와 바로 뒤의 2가방 PC는 최상위 랭커들도 많이 사용합니다. 상대가 4줄 콤보(4-wide) 빌드를 사용할 때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가방(bag)?
테트리스에는 T, I, O, L, J, S, Z 7종의 블럭이 있습니다.
2005년 이후, 테트리스 컴퍼니의 가이드라인을 지켜서 나오는 게임은 이 7종의 블럭이 묶음으로 반복되는 규칙(random generator)을 따릅니다.
이런 규칙성 덕분에 개막(시작) 빌드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3가방 8줄 PC를 할 수 있는 개막 빌드는 많습니다.
어떤 빌드라도 3가방 8줄 PC를 했다면, 본문의 2가방 PC를 덧붙일 수 있습니다.
3가방 8줄 PC를 하고 나면 3번 가방에서 하나의 미노가 남습니다. 1번 가방 전체, 2번 가방 전체, 3번 가방 중 6개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남는 미노는 대개 홀드된 상태일 텐데, 그 미노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다릅니다.
꼭 PC를 노리지 않더라도, T스핀을 만들기 좋은 형태이니 익혀 두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L스핀, J스핀, S스핀, Z스핀, I스핀을 모두 할 줄 안다고 가정합니다.
◆ O1
T스핀 가능성 있음. 해법이 단순해서 좋음.
오른쪽 해법만 알면 다 해결은 됩니다만, T스핀이 가능한 방법도 알면 좋습니다.
O를 다른 쪽으로 보내는 방식도 기본은 비슷합니다.
아래는 좌우대칭형.
역시 오른쪽 해법만 알면 다 해결은 됩니다만, T스핀이 가능한 방법도 알면 좋습니다.
◆ O2
T스핀 가능성 있음. 최소 해법은 3개지만, T스핀 해법도 익히면 좋을 것.
아래는 좌우대칭형.
◆ O3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해법 수가 적다는 장점은 있음.
아래는 좌우대칭형
S미노와 Z미노는 좌우 대칭입니다.
◆ S1
T스핀 가능성 있음. 최소 해법은 3개지만, T스핀 해법도 익히면 좋을 것.
◆ S2
T스핀 가능성 있음. 다만 T스핀 가능성이 높지는 않음.
전체 해법 중에는 T스핀 형태도 있습니다. 다만 확률이 높지는 않습니다.
◆ S3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해법 수가 적다는 장점은 있음.
◆ S4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해법 수가 적다는 장점은 있음.
S미노와 Z미노는 좌우 대칭입니다.
◆ Z1
T스핀 가능성 있음. 최소 해법은 3개지만, T스핀 해법도 익히면 좋을 것.
◆ Z2
T스핀 가능성 있음. 다만 T스핀 가능성이 높지는 않음.
전체 해법 중에는 T스핀 형태도 있습니다. 다만 확률이 높지는 않습니다.
◆ Z3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해법 수가 적다는 장점은 있음.
◆ Z4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해법 수가 적다는 장점은 있음.
◆ i1
T스핀 가능성 있음. 다만 조건이 까다로움.
오른쪽만 알면 다 해결은 됩니다만, T스핀이 가능한 방법도 알면 좋습니다.
아래는 좌우대칭형.
오른쪽만 알면 다 해결은 됩니다만, T스핀이 가능한 방법도 알면 좋습니다.
◆ i2
T스핀 가능성 없음. 대신 조건이 까다롭지 않음.
아래는 좌우대칭형
◆ i3
아래는 좌우대칭형
◆ T1
아래 형태에 비해 블럭 순서를 약간 덜 탑니다. 다만 T스핀 가능성이 없습니다.
아래는 좌우대칭형.
◆ T2
아래는 좌우대칭형.
L미노와 J미노는 좌우대칭입니다.
◆ L1
해법에 T스핀이 없는 점은 아쉽습니다.
◆ L2
T스핀 가능성 없음. 조건도 까다로움. 대신 해법이 단순한 점은 좋음.
L미노와 J미노는 좌우대칭입니다.
◆ J1
T스핀 가능성 없음.
◆ J2
T스핀 가능성 없음. 조건도 까다로움. 대신 해법이 단순한 점은 좋음.
관련 글
댓글 영역
잘 보고 있습니다
뿌테2가 나오면 바로 하게 될텐데, 테사기좀 잘 잡았으면 좋겠어요 ㅠ
우연히 상쇄 타이밍이 맞아서 쓰레기 줄이 없거나, 상대의 4열콤보(4-wide) 빌드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용하거나, 상대와의 실력 차이가 굉장히 클 때 사용하는 정도의 빌드입니다.
뿌테2의 경우 뿌테1에 비해 테트리스VS뿌요뿌요 대전 밸런스가 약간은 괜찮아졌다는 평이 많습니다. 물론 게임 방식 자체의 차이 때문에 고수 레벨에서는 테트리스 측이 여전히 유리하지만, 기존에 비해 차이가 완화되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여 글 잘보고 있습니다https://m.youtube.com/watch?v=olZJcDLP8I8&feature=youtu.be
20초쯤에
가무시로 퍼클 이후 갑자기 2가방 퍼클 빌드로 하던데
미노가 한개 남아서 깔끔하려고 그러는건가요?
아니면 가무시로로 계속 순환이 안되서 그러는건가요?
이렇게 하나가 남으면 게임 시작 때와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막 빌드로는 순환이 안 됩니다.
그렇게 남은 미노 하나와 이후의 2가방[=14개 미노]을 합쳐 15개의 미노로 6줄 퍼펙트클리어를 하면, 깔끔하게 5가방[=35개 미노]를 다 소비하게 됩니다.
그러면 게임 시작 때와 상황이 똑같이져서, 개막빌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해당 빌드는 처음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부터 낮고, 퍼펙트 클리어 방법도 다소 복잡해서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별로 추천 드리고 싶은 빌드는 아닙니다.
https://tetrisopener.wicurio.com/index.php?3%E5%B7%A1%E3%83%91%E3%83%95%E3%82%A7%E5%BE%8CT%E6%AE%8B%E3%81%97
그런데 solution-finder를 사용하신 것 같은데 이 프로그램은 최소 해법 수를 잘 줄이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최소 해법을 줄이셨는지 묻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 방법은 다음 2가지 링크의 프로그램이 있는데 둘다 출력 형식이 여기서 제시한 포맷 (solution-finder에서 path를 실행한 결과)와는 다른데, 혹시 다른 프로그램이 있거나, 아니면 다음 프로그램을 써서 나온 결과를 참조하여 fumen을 직접 편집하신 건가요?
https://github.com/eight04/sfinder-strict-minimal
https://github.com/knewjade/path-filter
1. knewjade의 path-filter로 줄이고
2. output.txt list를 path_unique.html list와 대조하여 확률순으로 정렬한 다음
3. path_unique의 제목(예시: 75.5 % : OTZSJLI)만 따로 fumen에서 복붙한 것입니다.
프로그래밍 능력이 되면 이것도 자동화 가능할 것 같은데 아쉽습니다.
v115@9gRpBtywR4whRpA8BtwwR4glwhC8i0ilwhE8g0C8wh?JeAgWHApintCvX2BA
v115@9gRphlBti0whRpA8glQ4Btwwg0whC8glR4ywwhE8Q4?C8whJeAgWHAp+jFDvifBA
이걸 v115@ 떼고 https://fumen.zui.jp/?D115@ 뒤에 붙이면 fumen list 형식이 나옵니다. 그런데 순서가 엉망이고 제목에 확률도 안 붙어 있습니다.
그걸 그대로 블로그에 사용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정렬과 제목 수정을 수작업으로 했습니다. 창 여럿 띄워놓고 하면 오래 걸리지는 않습니다.
정보들이 많아서 나중에 영상 제작할 때 정원님 블로그의 정보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만약 사용해도 댓글과 영상 설명란에는 정원 블로그를 참조했다고 남기고, 본문 텍스트 복붙이나 사진 그대로 찍어서 쓰는 것도 하지 않겠습니다. 혹시 제 영상에 이 블로그에 있는 테트리스 정보 중 일부분을 사용해도 될까요??
그림이나 텍스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자유롭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